ls - 도스의 "dir"과 같은 역할,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한다.
cd - 작업 디렉토리를 이동한다.
pwd -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를 출력한다.
rm -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. 해당 파일이나 데릭토리에 삭제 권한이 있어야 한다.
cp -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한다. 새로 복사한 파일은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.
touch - 크기가 0인 새 파일을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파일인 경우 수정시간을 현재시각으로 변경한다.
mv - 파일과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위치 이동 시 사용한다.
mkdir -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 생성된 디렉토리는 명령어를 수행한 사용자의 소유가 된다.
rmdir - 디렉토리를 삭제한다. 해당 디렉토리의 삭제 권한이 있어야 하며, 파일이 들어 있으면 안된다.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려면 "rm -r"을 사용해야 한다.
cat -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을 화면에 출력한다. 파일의 내용을 간단히 확인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한다.
head -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의 앞 10행을 출력한다.
tail -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의 뒤 10행을 출력한다.
more - 텍스트로 작성된 파일을 화면에 페이지 단위로 출력한다.
- Spacebar는 다음페이지, b는 앞페이지, q는 종료이다.
less - more와 용도가 비슷하지만 기능이 더 확장된 명령이다. more의 키 및 화살표, Page Up, Page Down도 작동한다.(vi의 기능이 일부 추가되었다고 보면된다.)
file - File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 표시해 준다.
clear - 명령창을 깨끗하게 지워준다.
'프로그래밍 > 예전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SI 7계층과 TCP/IP 4계층 (0) | 2010.08.23 |
---|---|
TCP기반의 에코서버/클라이언트 (0) | 2010.08.19 |
네트워크의 주소체계와 데이터 정렬 (0) | 2010.08.17 |
소켓의 프로토콜 (socket함수를 파헤쳐보자) (0) | 2010.08.16 |
윈도우 기반의 소켓관련 함수 (0) | 2010.08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