페도라 리눅스를 방금 막 설치한 유저라면 아마 GUI에서 작업중이실겁니다.
하지만 VMWare를 사용하다보니 GUI환경이라 그런지 Linux가 조금 느린것 같네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CUI환경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.
아래는 보이는 사진은 터미널 프롬프트를 킨 페도라 리눅스 화면입니다. 아직 GUI환경이지요.
su - root는 관리자권한으로 로그인 하는 것입니다. password는 자신이 등록한 password입니다.
Password를 입력하면 아래와같이 [root@localhost ~]라고 나와있고, 옆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.
그 명령어 창에 vi /etc/inittab을 입력해주세요.
vi는 파일편집기 같은 것입니다.
/etc/inittab은 디렉토리구요.
그러면 이런 신기한 글들이 마구 뜰겁니다.
거기서 키보드의 i를 누르시면...
아래 그림의 맨 아래를 보시면 -- INSERT --라고 바뀔것입니다.
파일을 수정하겠다는 뜻입니다.
아래의 그림처럼 맨 아래의 id:5:initdefault:라는 부분을 id:3:initdefault:로 바꿔주세요.그리고 ESC를 사뿐히 눌러줍니다.
--INSERT--사라진거 보이시죠?
이제 그 창에 :wq를 입력하고 Enter를 눌러주세요.
w는 write의 약자로써 저장을 하겠다는 뜻이고,
q는 quit의 약자로써 종료를 하겠다는 뜻입니다.
즉, '저장하고 종료하겠다'라는 뜻입니다.
참고로 !를 붙여주면 무조건 하겠다는 뜻으로 오류도 무시한다는 뜻입니다. :q! 무조건 종료해라.
그러면 아래처럼 깔끔하게 원래 창으로 돌아옵니다!!
거기서 reboot명령어를 써서 재부팅~!@
하면 아래 도스창같은 창이 뜹니다. 옛날의 CUI죠...
localhost login에 호스트 명을 입력해주시고,
Password는 아시겠죠? 말그대로 비밀번호입니다.
그러면 아무것도 없이 터미널 프롬프트에서만 보던 것이 뜹니다.
이렇게 해놓으면 멋은 없지만..(ㅜ;;) 하면 훨씬 빨라집니다!!
하지만 VMWare를 사용하다보니 GUI환경이라 그런지 Linux가 조금 느린것 같네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CUI환경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.
아래는 보이는 사진은 터미널 프롬프트를 킨 페도라 리눅스 화면입니다. 아직 GUI환경이지요.
su - root는 관리자권한으로 로그인 하는 것입니다. password는 자신이 등록한 password입니다.
Password를 입력하면 아래와같이 [root@localhost ~]라고 나와있고, 옆에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.
그 명령어 창에 vi /etc/inittab을 입력해주세요.
vi는 파일편집기 같은 것입니다.
/etc/inittab은 디렉토리구요.
그러면 이런 신기한 글들이 마구 뜰겁니다.
거기서 키보드의 i를 누르시면...
아래 그림의 맨 아래를 보시면 -- INSERT --라고 바뀔것입니다.
파일을 수정하겠다는 뜻입니다.
아래의 그림처럼 맨 아래의 id:5:initdefault:라는 부분을 id:3:initdefault:로 바꿔주세요.그리고 ESC를 사뿐히 눌러줍니다.
--INSERT--사라진거 보이시죠?
이제 그 창에 :wq를 입력하고 Enter를 눌러주세요.
w는 write의 약자로써 저장을 하겠다는 뜻이고,
q는 quit의 약자로써 종료를 하겠다는 뜻입니다.
즉, '저장하고 종료하겠다'라는 뜻입니다.
참고로 !를 붙여주면 무조건 하겠다는 뜻으로 오류도 무시한다는 뜻입니다. :q! 무조건 종료해라.
그러면 아래처럼 깔끔하게 원래 창으로 돌아옵니다!!
거기서 reboot명령어를 써서 재부팅~!@
하면 아래 도스창같은 창이 뜹니다. 옛날의 CUI죠...
localhost login에 호스트 명을 입력해주시고,
Password는 아시겠죠? 말그대로 비밀번호입니다.
그러면 아무것도 없이 터미널 프롬프트에서만 보던 것이 뜹니다.
이렇게 해놓으면 멋은 없지만..(ㅜ;;) 하면 훨씬 빨라집니다!!
'프로그래밍 > 예전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켓의 프로토콜 (socket함수를 파헤쳐보자) (0) | 2010.08.16 |
---|---|
윈도우 기반의 소켓관련 함수 (0) | 2010.08.14 |
리눅스 yum 명령어를 알아보자 (0) | 2010.08.14 |
DBMS의 종류(관계형, 객체지향형, 객체관계형) (1) | 2010.08.14 |
페도라 리눅스 시작하기 (명령어 찾기) (0) | 2010.08.13 |